회사소개

홍콩ELS 배상금 기저 효과에은행·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26 10:28

본문

홍콩ELS 배상금 기저 효과에은행·보험사 이익 크게 늘어전년동기 대비 순익 16% 증가경기부진에 카드사는 실적악화대출 축소·희망퇴직 비용 증가우리금융, 순익 나홀로 역성장 [사진 = 연합뉴스]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이 지난 1분기 역사상 최대치인 5조원에 육박한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금융권에서는 6월 대통령선거 이후 정치권의 상생금융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다만 보험사 인수를 앞둔 우리금융은 건전성 관리에 고삐를 죄며 순이익 규모가 감소했다.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은 25일까지 공시를 통해 지난 1분기 총 4조928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혔다. 작년 1분기(4조2215억원)에 비해 16% 넘게 신장했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KB금융이 62.9%, 신한지주가 12.6% 순이었고, 하나금융(9.0%)이 뒤를 이었다. 반면 우리금융은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이 8240억원에서 6156억원으로 25% 넘게 빠져 ‘나 홀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4대 금융 외에 IBK기업은행도 이날 실적발표를 통해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8% 높아진 8142억원을 기록하고 설명했다.4대 금융그룹의 실적은 1차적으로 은행들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 기저 효과에서 비롯됐다. 지난해 1분기 KB와 신한이 손실 고객을 대상으로 각각 수천억 원대 자율배상 비용을 충당부채에 쌓으며 당기순이익이 많이 위축됐던 ‘기저 효과’가 반영된 셈이다.아울러 은행 전반적으로 ‘저원가성 예금’이 유입된 영향도 큰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관세전쟁으로 시작된 국내외 증시의 급락에 따라 갈 곳 잃은 대기성 자금이 은행으로 흘러들어왔다. 올해 1분기 대부분 은행은 기업 여신을 늘리기 위한 영업을 적극 펼치지 못했음에도, 예대금리차에 따라 이익을 늘릴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각 금융그룹에서 이자 이익이 각각 1~2% 증가했다. 신한금융의 경우 올 1분기 이자이익은 2조8549억원이다.1분기 금융지주가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올린 가운데 우리금융은 유일하게 뒷걸음질쳤다.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00억원 넘게 줄어들며 시장 예상보다 밑돈 것이다. 이는 조만간 동양·ABL생명 인수를 앞두고 보통주자본(CET1) 비율을 관리해야 하는 우리금융이 보수적인 영업 기조를 유지한 데다 희망퇴직 비용까지 1분기에 반영한 효과로 해석된다. 우리은행은 1분기에 1600억원이 넘는 희망퇴직금을 일시적으로 반영했는데, 이는 당기순이익 홍콩ELS 배상금 기저 효과에은행·보험사 이익 크게 늘어전년동기 대비 순익 16% 증가경기부진에 카드사는 실적악화대출 축소·희망퇴직 비용 증가우리금융, 순익 나홀로 역성장 [사진 = 연합뉴스]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이 지난 1분기 역사상 최대치인 5조원에 육박한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금융권에서는 6월 대통령선거 이후 정치권의 상생금융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다만 보험사 인수를 앞둔 우리금융은 건전성 관리에 고삐를 죄며 순이익 규모가 감소했다.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은 25일까지 공시를 통해 지난 1분기 총 4조928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혔다. 작년 1분기(4조2215억원)에 비해 16% 넘게 신장했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KB금융이 62.9%, 신한지주가 12.6% 순이었고, 하나금융(9.0%)이 뒤를 이었다. 반면 우리금융은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이 8240억원에서 6156억원으로 25% 넘게 빠져 ‘나 홀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4대 금융 외에 IBK기업은행도 이날 실적발표를 통해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8% 높아진 8142억원을 기록하고 설명했다.4대 금융그룹의 실적은 1차적으로 은행들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 기저 효과에서 비롯됐다. 지난해 1분기 KB와 신한이 손실 고객을 대상으로 각각 수천억 원대 자율배상 비용을 충당부채에 쌓으며 당기순이익이 많이 위축됐던 ‘기저 효과’가 반영된 셈이다.아울러 은행 전반적으로 ‘저원가성 예금’이 유입된 영향도 큰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관세전쟁으로 시작된 국내외 증시의 급락에 따라 갈 곳 잃은 대기성 자금이 은행으로 흘러들어왔다. 올해 1분기 대부분 은행은 기업 여신을 늘리기 위한 영업을 적극 펼치지 못했음에도, 예대금리차에 따라 이익을 늘릴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각 금융그룹에서 이자 이익이 각각 1~2% 증가했다. 신한금융의 경우 올 1분기 이자이익은 2조8549억원이다.1분기 금융지주가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올린 가운데 우리금융은 유일하게 뒷걸음질쳤다.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00억원 넘게 줄어들며 시장 예상보다 밑돈 것이다. 이는 조만간 동양·ABL생명 인수를 앞두고 보통주자본(CET1) 비율을 관리해야 하는 우리금융이 보수적인 영업 기조를 유지한 데다 희망퇴직 비용까지 1분기에 반영한 효과로 해석된다. 우리은행은 1분기에 1600억원이 넘는 희망퇴직금을 일시적으로 반영했는데, 이는 당기순이익 감소폭의 80%에 달한다. 우리금융은 은행을 중심으로 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