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2미사일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26 11:29

본문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2미사일방어여단 8979부대 장병들이 지난 23일 중거리지대공미사일 천궁 전개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공군 [서울경제] “현 시각, 적기 수도권으로 날아오는 징후 포착, 비상! 비상!”비상벨이 울리고 오산에 있는 공군 중앙방공통제소(Master Control and Report Center·MCRC)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적 지역에서 수도권 상공을 향해 미상의 적기가 빠르게 날아오는 것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적 항공기 전개 방향과 전개 대수 등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판단하고 경기도 북부 영공을 방어하는 방공포대인 공군 제8979부대를 지휘하는 대대 작전통제소(ICC)로 즉각 전투 대기 돌입 지시를 하달한다. 곧이어 대대 작전통제소는 제8979부대 교전통제소(ECS)에 전투 대기 돌입을 지시한다. “(대대 작전통제소) 00시 00분 ○○에 의한 전투 대기 돌입!”이에 전투 대기 돌입을 지시받은 제8979부대 교전통제소는 지시 내용을 복명복창하고 전투 대기에 돌입한다. “(교전통제소) 00시 00분 ○○에 의한 전투 대기 돌입!”전투 대기 돌입 지시 즉시 사거리 40㎞에 달하는 중거리지대공미사일(M-SAM) ‘천궁’ 발사대를 운용하는 작전조원 3명은 비상대기실 문을 박차고 나와 100여 m 떨어진 발사대를 향해 전속력으로 뛰어가 발사대에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한다. “(작전요원) 발사대 유도탄 케이블 연결 확인!”. 천궁 발사대에 전원이 공급되고 누워 있던 발사대가 신속하게 하늘을 향해 수직으로 직립하기 시작한다. 1분여 정도 걸렸다.이후 작전조원들은 발사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발사대 직립을 마치고 모든 준비가 끝나면 교전통제소로 완료를 보고한다. “(작전요원) 발사대 최종 무장 완료! 원격 준비 끝!”.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2미사일방어여단 8979부대 장병들이 지난 23일 중거리지대공미사일 천궁 전개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공군 보고를 받은 교전통제소는 “(교전통제소) 원격!”을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성턴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서 스콧 베센트 미국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기재부 제공) 2025.04.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안호균 박광온 기자 = 한국과 미국이 첫 고위급 관세 협의를 마쳤다. 우리측 대표로 미국을 방문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 측에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의 면제를 요청했다. 이를 위해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 정책 등 4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가자는 협의의 틀이 도출됐다. 한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7월 8일까지 '7월 패키지(July Package)'라는 이름의 합의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미국도 이 방안에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은 다음주부터 분야별 실무 협의와 고위급 협의를 이어가게 된다.이번 통상 협의에 임하는 한국과 미국은 입장이 크게 달랐다. 탄핵 사태로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있는 한국은 차기 정부에서 최종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대화의 속도를 늦추려 했다. 하지만 관세 조치로 국내외에서 공격을 받고 있는 미국은 최대한 빨리 성과를 도출하길 희망했다.정부는 조선·에너지 등 협력을 제안하는 한편 국내 정치 일정 등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미국을 설득했다. 결국 7월 8일까지는 시간을 벌었다. 미국의 관세 조치 면제를 위한 최종적인 협상과 합의는 차기 정부가 주도하게 됐다. 일단 미국발 통상 전쟁이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는 상황은 피했다는 평가다.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21일 경기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2025.04.21. jtk@newsis.com 이번 한미 통상 협의 결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엇갈린다.일각에서는 확고한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지 못한 현 정부가 최종 결정을 대선 후로 늦춘 것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