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주 가랜드의 한 모자
페이지 정보

본문
미국 텍사스주 가랜드의 한 모자 제조업체에서 한 근로자가 모자를 만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각 지역의 경제 활동을 살펴본 결과 불확실성이 팽배하고 이에 따라 몇 달 동안 성장이 제한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 때문이다. 연준은 23일(현지 시간) 공개한 4월 경기동향보고서(베이지북)에서 “경제 활동은 이전 보고서 이후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국제 무역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전반에 걸쳐 만연했다”고 진단했다. 베이지북은 연준을 구성하는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담당 구역의 경제활동을 직접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경기 진단 보고서다. 통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2주전에 발표되며 이번 보고서는 다음달 6~7일로 예정된 5월 FOMC의 정책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됐다.이번 베이지북의 키워드는 관세와 불확실성이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번 베이지북에서 관세에 대한 언급 횟수는 107차례에 이르러 직전 보고서(49회) 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인 2018년 10월 베이지북에서 51회 언급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역 기업인들이 느끼는 관세 불안감이 이번 행정부에서 더욱 커졌다는 점을 시사한다. 아울러 ‘북확실성’과 관련된 표현도 89회 등장했다. 연준은 이번 보고서에서 여전히 경제는 성장하고 있다고 봤지만 경제 종사자들의 심리와 불안감은 커졌다고 봤다. 출장이나 휴가를 위한 여행은 모두 둔화되고 있으며 외국인 여행객도 감소했다. 보고서는 “여러 지역에서 기업들이 고용에 대해 관망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경제 상황에 대한 명확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채용을 중단하거나 늦추고 있다고 보고했다”며 “또한 기업들이 해고를 준비하고 있다는 보고도 산발적으로 나왔다”고 밝혔다.소비자 지출은 자동차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낮아졌다고 연준은 전했다. 자동차의 경우 대부분 지역에서 완만하거나 강한 판매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연준은 “일반적으로 관세 관련 가격 인상에 앞서 구매를 서두른 영향을 받았다”라 박극제 전 부산공동어시장 대표이사. [헤럴드경제(부산)=조아서 기자] 20억원의 부산공동어시장 대금 미회수 사건과 관련해 박극제 전 대표이사가 구속됐다.부산지법 엄성한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24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배임) 위반 혐의를 받는 박 전 대표이사에 대해 ‘도망의 염려’를 이유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법원은 전날인 지난 23일 박 전 대표이사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했다.박 전 대표이사는 지난해 6월 소속 중도매인 2명이 파산하면서 회수하지 못한 20억원 상당의 어대금 어시장 자체 예산인 대손충당금으로 보전하려 해 법인에 경제적 손해를 끼친 혐의를 받는다. 어대금은 어시장에서 소속 중도매인이 어획물에 대해 지급해야 하는 대금이다.해경은 지난해 7월부터 내사에 착수해 같은 해 10월에는 공동어시장 사무실을 압수수색 하며 약 9개월간 수사를 벌였다.박 전 대표이사는 2019년 4월 취임해 지난 18일까지 공동어시장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 이전글텔레@coinsp24 테더손대손 트론코인 손대손 25.04.24
- 다음글미·이란 핵 협상 ‘속도’…못마땅한 이스라엘 ‘핵시설 공격’ 저울질 25.04.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